대학원에 진학한
민영씨
민영씨
민영 씨는 공대를 졸업하고 직장을 몇 년 다니다가 시간이 흐를수록 관련 분야에서 입지가 좁아지는 것 같다고 느꼈습니다
좀 더 나이가 들면 회사에서 관리직과 기술직의 두 가지 경로중 하나를 골라서 진급해야 할 것 같은데, 적성상 관리직은 몸에 맞지 않는 옷이 될 것 같아 고민을 하다 올 해 초 학부 전공 분야의 대학원에 진학하였습니다
현재 민영 씨의 희망은, 스마트폰, 태블릿, 대형 TV 등 중소형에서부터 대형 디스플레이의 차세대 표시 소자로 주목받고 있는 QD-LED 관련 연구를 해서 박사 학위를 받고, 가능하면 교수직을 얻어 학계에 남는 것입니다
만약의 경우 학계에 남는 것이 힘들 것 같으면 다시 산업계로 복귀하여 기술직 출신 임원으로 성장한다는 Plan B 를 세워 두었습니다
진학 후 민영 씨는 사람들과 어울리며 연구실 생활에 적응하는 한편, 연구 분야의 주요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QD-LED 관련 논문을 검색하여 읽어 보기로 했습니다
전문 분야의 학자들을 위한 Google 학술검색에서 qd led 를 찾아보니 영어로 작성된 약 28만 6,000 개의 관련 논문이 쏟아져서 현기증이 납니다 (그림 1)
그림 1 . 2021 년 1월 10일 scholar.google.com 의 qd led 검색 결과
이건 아니다, 싶은 나머지 QD-LED 관련 review 논문으로 국한해서 검색해 봐도 약 15만 8,000 개의 논문을 찾을 수가 있습니다 (그림 2)
그림 2. 2021 년 1월 10일 scholar.google.com 의 qd led review 검색 결과
논문의 개수도 개수지만 관심 영역의 전문 어휘들도 거의 암호 수준으로 느껴집니다
비록 학부 시절에 공학을 전공하기는 했지만 QD-LED 분야를 접한 것은 대학원에 들어오고 나서 처음이라 새로운 영역에 적응하기까지는 꽤 많은 시간이 걸릴것 같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 지 난감하던 차에, 민영 씨의 성실함을 지켜보던 지도 교수님께서 본격적인 연구에 들어가기 전에 한 번 읽어보라고 핵심 논문을 하나 추천해 주십니다
일단 학습의 목표가 분명해져서 마음이 한결 가벼워지니까 교수님에 대한 감사의 마음이 듭니다
민영 씨에 대한 교수님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서라도 열심히 암호 해독에 매진해보겠다고 다짐해 봅니다
1년 반 정도의 연구 후, 민영 씨는 그동안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여 관련 학회에서 Poster 형식으로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그림 3)
이번 학회 참석을 통해서 민영 씨가 이루고자 하는 주요 목표는 관련 분야의 외국 교수님과 대화를 시도하여 얼굴을 익히고 친분을 쌓아 놓는 것입니다
이번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면 외국 유명 대학에서 박사 과정을 밟는 일이 한결 수월해질 지도 모르는 일이므로 민영씨는 발표 날짜가 가까이 다가올 수록 자신의 연구 내용을 영어로 요약하여 말하는 연습을 게을리하지 않는 한편, 유튜브를 통해 외국 교수님의 발표 동영상을 찾아서 열심히 들어 놓으려고 노력 중입니다
민영 씨의 노력이 결실을 맺어 드디어 연구 결과를 석사 논문으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그림 4)
민영 씨의 학과에서는 영어로 작성된 논문만을 인정해 주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영어 작문 책을 한 권 사서 읽어봅니다
지금까지 나름 많은 문제들을 잘 헤쳐 나왔다고 생각을 했는데 막상 논문을 쓰려고 앉으니까 어떻게 이 일을 끝마칠수 있을지 아득하게만 느껴집니다
다행히 천사 같은 마음의 교수님께서 바쁜 시간 중에 틈틈이 엉망진창의 영어 문장들을 교정해 주셔서 무사히 논문 작성을 마치고 석사 학위를 받을 수가 있었습니다